자유게시판
•홈  >  게시판  >  자유게시판
  제  목 : 예수님을 사랑한 순교자 주기철목사 조회수 : 3935
  작성자 : 시몬 작성일 : 2007-08-13



예수님을 사랑한 순교자 주기철목사

주기철목사 1편 - 믿음의 사람으로 준비되다

http://www.cgntv.net/cgn_player/player.htm?vid=26590

주기철목사 2편 - 나의 묻힐 곳 평양으로

http://www.cgntv.net/cgn_player/player.htm?pid=2052&bit=medium&vno=2

주기철목사 3편 - 계속되는 고난속에서

http://www.cgntv.net/cgn_player/player.htm?vid=26792

주기철목사 4편 - 저높은 곳을 향하여

http://www.cgntv.net/cgn_player/player.htm?pid=2052&bit=medium&vno=4 [인물소개] 주기철 (목사) 목사, 독립운동가, 1897년 11월 25일 - 1944년 4월 21일. 경상남도 창원에서 출생. 오산학교, 장로 신학교 졸업, 연희전문학교 상과 중퇴. 부산 초량교회 목사, 마산 문창교회 목사, 웅천에서 남학회 조직, 3·1 운동 참가, 평양 산정현교회 담임목사(1936), 신사참배 거부로 목사직 파면, 산정현교회 폐쇄(1939), 20일간 단식, 옥중 순교(1944). 건국훈장 독립장(1963). 방송인 주광조는 그의 아들이다. 주기철(朱基徹) 일제의 신사참배 항거, 옥중에서 순교한 소양 주기철 1. 성장기 주기철(1897~1944) 목사는1897년 11월 25일 경상남도 창원군 웅천면 복부리(현재 진해시 웅천 1동)에서 주현성씨의 4남 3녀 중 네째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웅천은1595년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 시(소서행장)가 웅천성에서 수많은 왜군을이끌고 조선병사들을 무참히 학살했던 비운의 역사현장이기도 하다.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일제가 웅천에 다시 침략해올 것을 우려했던 주목사 일가의 어른 주기효는 민족 수난을 극복하기 위해선 힘을 길러야 한다면서 이곳에 1906년 개통학교를 세웠는데 어린 기철은 이학교에 입학,투철한 민족정신과 남다른 민족애를 키웠다. 이즈음 그의 맏형인 주기원은이곳에 웅천교회를 세워 목회활동을 시작했는데 어린 기철은 이교회에 열심히 다녀서 `소년 목사"라는 칭호를 듣기도 했다고 한다. 개통학교 7년과정을 마칠 무렵, 그는 당시 부산에서 우연히 춘원 이광수 애국강연을듣고 감동을 받아 춘원이 교장 대리로 있던 평북 정주의 오산 학교에진학하기로 결정한다. 오산학교에 진학한 그는 그곳에서 민족 지도자인이승훈을 비롯, 조만식, 서춘선생등을 만나 철저한 민족교육과 함께신앙교육을 받았다. 주기철은 1916년 오산학교를 졸업한 뒤 그해 4월 선교사들이 세운 연희전문학교 상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입학한지 몇달도 채 안돼 지병인 안질이심해져 학업을 중단해야할 지경에 이르렀다. 할수 없이 학업을 포기하고낙향한 그는 웅천교회에서 집사로 봉사하면서 동시에 교남학교에서 교편을잡으며 야학과 청년운동에도 정열을 쏟았다. 이즈음 그는 김해 교회 이기선 목사의 중매로 안갑수와 혼인을 한다. 2. 성령체험과 목회의 길 주기철은 1920년 마산 문창교회에서 열린 김익두 목사의 부흥회에 참석해 뜨거운 성령체험을 한뒤 목사가 되기로 결심, 22년 3월 평양장로회신 학교에 입학했다. 이곳에서 그는 마포삼열 교장을 비롯, 배위량, 왕길지, 곽안련, 나부열 등 쟁쟁한 교수진으로부터 철저한 신학교육을 받게 된다. 당시그는 출신도 별로 나뉘어 있던 기숙사 제도의 맹점을 학교당국에 시정토록건의, 혼합방식을 채택토록 하는 선도적 역할을 해내기도 했다. 신학교 재학시절 양산읍 교회 전도사로 시무한 그는 1925년 12월 신학교 졸업과 함께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고 부산초량교회 위임 목사로 부임을 했다. 첫 부임지인 초량교회에서 그는 헌신적이고도 정열적으로 목회활동을 한다. 3. 신사참배 거부 당시 그는 구덕산 기슭에 자기 기도처를 정해 놓고 수시로 밤샘 기도를 했는데 이튿날 내려 올 때 온몸이 비를 맞은 듯 땀에 흠뻑 젖어 있었다 고전해진다. 또 외출도 하지 않으면서 설교원고를 집필, 완성된 원고를 토요일 밤까지 수십번씩 낭독해 암송한 뒤에야 주일 설교에 나섰다고한다. 그는 또 이때 신사참배가 기독교 교리상 어긋난다며 `신사참배반대 결의안"을 경남노회에 제출, 정식 가결을 받아 내기도 했다. 그는 1936년 마산 문창교회에 이어 평양 산정현 교회에 부임해 갔는데 이즈음 일제는 신사참배라는 무기로 한국교회의 목을 죄어오기 시작했다. 일제는 신사참배에 반대하는 교인들을 모조리 구속하고 고문하는 잔악성을드러내기 시작했다. 탄압이 계속되자 당시 평양에서 열린 제 27회 장로회총회에서는 굴욕적인 신사참배를 공식 결의하기에 이르렀다.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무기력하게 신사앞에 무릎을 꿇었지만 주목사와 그와 뜻을 같이하는 일부 목회자들은 신사참배를 강요하는 일본군의 총칼 앞에 당당히 맞섰다. 4. 투옥 생활 이로인해 주목사는 1938년 부터 1944년 마지막 순교를 할 때까지 모두 5차례 총 5년 4개월 간의 투옥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옥중에서 몽둥이 찜질, 채찍질, 쇠못 밟기, 거꾸로 매달아 코에 고추가루 뿌리기, 발바닥 때리기 등 상상도 할 수 없는 갖은 고문을 당하면서도 끝내 신앙적 변심을하지않았다. 7년 동안 구속과 석방을 거듭하며 안질, 폐병, 심장병 등이악화돼 폐인이 되어갔지만 감옥에선 언제나 평화로운 얼굴로 성경말씀을 묵상하며 감사찬양을 했다고 한다. 5번째로 구속돼 형무소에 갇히기직전 자택에서 늙은 노모와 처자, 20여명의 평양산정현 교회 교인들이 모인 가운데 그는 생애 마지막 설교를 남긴다. "우리 주님 날 위해 십자가 고초 당하시고 십자가 지고 돌아가셨는데 나 어찌 죽음이 무섭다고 주님을 모른체 하리이까. 오직 일사각오가 있을 뿐입니다.... 소나무는 죽기전에 찍어야 시퍼렇고 백합화는 시들기 전에 떨어져야 향기롭습니다. 이몸도 시들기 전에 주님 제단에 드려지기를 바랄 뿐입니다." 5. 유언과 순교 그는 투옥된 이후 취조와 고문을 혹심하게 당했다. 그로 인하여 그의 몸은 약해지고 드디어 그는 옥중에서 순교를 하게까지 되었다. 때는 1944년 4월 13일이었는데 그날 사모님과 마지막 면회시에 남긴 말을 다음과 같다. "어머님 뵈옵구 싶구려...미음도 먹고 싶소... 나는 가나 산정현 양떼들은 어찌하리이까?" 이때 사모님되시는 오정모 집사님은 "그는 염려하지 마십시오"하고 위로하였다. "그러면 안심하겠소. 어머님을 많이 위로해 드리시오." 이 말을 최후로 사모님과는 작별했다. 1944년 4월 21일 금요일 밤 9시 숱한 고문으로 만신창이가 된 그의 몸은 평양형무소의 한 귀퉁이에서 그날 밤 9시 30분에 주목사님은 49세로 세상을 떠났는데 "내 여호와 하나님이여 나를 붙잡으소서"하시고 웃으며 운명하셨다. [신문기사] 주기철 목사 1939년 12월 조선예수교장로회 산하 평양노회(老會)가 평양 남문밖교회에서 임시회의를 열어 “주기철을 목사직에서 파면한다”고 결의했다. 주 목사는 세 번째로 감옥에 갇혀 있었다. 일제의 신사(神社) 참배를 거부한 게 죄였다. 주 목사는 이듬해 4월 가석방으로 풀려나서야 자신이 더 이상 ‘목사’가 아님을 알게 됐다. 지금은 남쪽에서 활동하고 있는 평양노회가 어제 주 목사의 목사직을 67년 만에 복권(復權)시켰다. 경기 남양주 동화고교에서 열린 ‘한국 교회의 신사참배 결의와 주기철 목사의 순교와 관련해 하나님께 드리는 평양노회의 참회예배’에서다. 평양노회는 ‘참회고백서’를 내고 “신사 참배에 반대하고 일제에 항거했던 주 목사를 목사의 직에서 파면했던 죄악상을 참회하며 고백한다”고 했다. “이제야 할아버님이 다시 정식으로 목사가 되셨다. 감사하고 기쁘다.” 주 목사의 손자인 주승중 장신대 교수는 주 목사의 복권에 67년 세월이 걸린 것이 “신사참배를 받아들였던 다른 목사님들이 이제는 대부분 일선에서 물러났기 때문 아니겠느냐”고 했다. “가족들은 평양노회가 잘못을 뉘우치고 바로잡기를 기다려 왔는데 이제야 이뤄졌다”고 반겼다. 주 목사는 일본과 맞설 팔자를 타고났다. 고향인 경남 창원 웅천부터가 임진왜란 때 왜장(倭將)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3년 가까이 ‘웅천영(熊川營)’을 치고 앉아 갖은 약탈과 학살을 자행한 ‘한(恨)의 고장’이다. 주 목사는 웅천에 온 춘원 이광수로부터 “평북 정주 오산학교에서 애국자 교육을 받으라”는 강연을 듣고 오산학교에 진학했다. 그의 오산학교 은사가 고당(古堂) 조만식이었다. 주 목사는 1936년 마산까지 찾아온 고당의 권유를 받고 경남 마산 문창교회에서 평양 산정현교회로 옮겼다. 1940년 네번째로 투옥된 주 목사는 발톱이 모두 뭉개지는 고문을 당하고도 “육체의 재앙을 피하려고 우상 앞에 엎딜 수는 없다”고 버텼다. 그는 1944년 47세에 감옥에서 순교했다. 그를 기리는 기념물이 한둘쯤 있을 법하지만 그렇지 않다. “주 목사가 생전에 가장 싫어한 것이 우상화”라며 유가족들이 한사코 손을 내저었기 때문이다. 오는 21일이 주 목사 62주기(周忌)다. 늦었지만 진심 어린 평양노회의 참회야말로 어떤 기념물도 따를 수 없는 최고의 헌화(獻花)다. 신효섭 논설위원 bomnal@chosun.com

 "

전체댓글 0

댓글 쓰기0/200
입력
  이전글 : '에릭리들'의 불의전차
  다음글 : 내가 누구인가? (출애굽기 29:1-9)
이전글 다음글 목록보기